top of page

내가, 리더니까.

​★★★☆☆

초고교급 폭주족

하루카.png

아카마츠 하루카

赤松 春香 | Akamatsu Haruka

19Y | 179cm | 65kg | JAPAN

ITEM

1. 막대사탕(작은것 2개)

2. 바이크 키와 키링

3. 여분 겉옷(한 벌)

아카마츠 하루카.png
문구들.png

! 성격 !

 

두려움

리더인만큼 자신의 팀원들을 소중히 생각하기에, 그만큼의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 자신이 하는것에 팀원들의 미래가 달렸을지도 모른다는 부담감과 두려움, 결국에는 리더라는 자리가, 그녀의 책임감을 더욱 굳게 만든다.


 

! 특징 !

 

팀명 [DO DIE]는  “~どうだい?” 라며 팀명에 대한 의견을 냈을때, 자동차가 큰 소리를 내며 지나가는 바람에 친구들이 “~どうだい”를  “Do die”로 들어 지어진 이름이다. 친구들의 반응이 너무 좋은 탓에 하루카는 그냥 그걸로 하자고 해 버렸다.

 

교통법규를 제외하면 불법은 저지르지 않는다. 가끔 싸움을 하긴 하지만… 먼저 싸움을 거는 일은 없다.

맞고 돌아온 부하의 빚을 값아주거나, 오는 싸움은 거절하지 않는 주의다.

 

천성이 악한 사람은 아니기때문에, 부하들이 약자에게 폭력을 저지르거나 하는 모습을 보면 집합시켜 부하들의 기강을 다잡기도 한다. 팀의 규모가 워낙 크기때문에 모두 관리하기는 힘들지만, 자기 나름의 선은 지키려고 하는 듯 하다.

 

[과거사]

가풍을 중시하는 엄격한 집안의 외동딸이었다. 하지만 그 가문중에서도 본인과 가까운 가족은 ‘본가’ 가 아닌 ‘분가’에 속했다. 그것만으로는 큰 문제가 안 될 테지만, 하필 하루카의 가문은 본가의 명성은 드높더라도 그에 비해 분가는 상대적으로 빛을 보지는 못하는 가문이었다. 가족의 관심이 상대적으로 덜하며, 본가의 중요함은 분가에 비하면 이루 말할 수없을 정도였다. 쉽게 말해 하루카는 가문으로부터 받는 좋은 혜택은 별로 없으면서, 가문의 규칙이나 예절은 똑같이 빡빡하게 지켜야 하는 환경에서 자랐다. 

 

바이크를 접하게 된 것은 우연이었다. 먼 친척이 샀다는 바이크에 처음 얻어탔을때는 마치 새로운 세계를 경험하는 듯 했다. 그 후로도 몇 번, 바이크를 얻어탔고 평생 답답한 삶을 살아온 하루카에게 있어 폭주, 바이크를 타고 달리는 것은 하나의 해방구였다. 

 

바이크를 타고 달릴때면 모든 답답함과 걱정은 잃어버린 것만 같았다. 당장 그 스릴과 바람에 모든 생각과 심장까지 내맡겨 달리면 기분이 그렇게 좋을 수가 없었다. 결국에는 직접 아르바이트까지 하며 돈을 모아 바이크를 샀지만 워낙 보수적인 집안인 탓에 가족들은 전혀 하루카를 좋게 보지 않았다. 

 

하지만 질풍노도의 시기에 하지 말라면 더 하고싶은 법, 하루카는 바이크에 푹 빠졌고 바이크를 좋아하는 다른 친구들과도 사귀게 되었다. 그게 폭주족 모임 [DO DIE]의 시초였다.

 

결국 가족들과는 절연당할 위기에 처했지만 이미 일은 너무 크게 벌어진 후였다. 이제와서 팀 DO DIE를 해체하기에는 너무 규모가 커졌기 때문에 결국 익명으로 활동해 가문 명성을 더럽히지 않으며, 학교생활은 제대로 하는 조건으로 결론을 봤다. 앞으로 뉴스에 나와 가문의 명성을 더럽히게 될 경우에는, 그날부로 절연을 하는 것으로.

 

그랬을 터인데, 어느날 키보가미네 학원으로부터 입학제의가 왔다. 그것도 초고교급 폭주족으로서. 이미 누군가가 자신이 [DO DIE]의 리더라는것을 알고있다는 사실과, 경찰도 이미 알고있을지도 모른다는 사실에 하루카는 불안감을 느꼈다. 

 

혹시 여기에 응하지 않으면 안 좋은 일이 일어나지 않을까? 누군가가 불었나? 이제와서 가족과의 절연은 아무래도 좋았다. 하루카에게 있어서는 이미 자신의 팀원들이 가족과 같았다. 차라리 이렇게 된 이상, 키보가미네라는 거대한 학원이 내세우는 초고교급 폭주족이라는 명찰을 달면, 그 ‘재능’의 보증 아래 오히려 우리 팀원은 안전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하루카는 초고교급 폭주족으로서 키보가미네 학원에 입학하기로 결정한다.

로고.png
NOTICE.png
WORLD.png
SYSTEM.png
MEMBER.png
모양 1.png
QnA.png
bottom of page